본문 바로가기

공간분석3

[QGIS]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분포 시각화 안녕하세요! '데박' 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최적입지분석에서 자주쓰이는 "폴리곤 내부의 포인트 개수 계산 및 순위산정 코드" 입니다. ​ □ 데이터 출처 1.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위치 정보(CSV) :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0883/S/1/datasetView.do - 건수 : 13648건 - 좌표계 : 4326 2. 서울시 500m 헥사곤 그리드(shapefile) - 지역 : 서울 전체 - 좌표계 : 5179 ​ 자!~ 시작합니다! □ 데이터 불러오기 보시는 바와 같이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위치] 데이터는 약 13000건이라서 어디에 공공와이파이가 많은지, 적은지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힘들죠, 이럴때 추천드리는 방법이 그리드를 생성하여 공.. 2023. 3. 1.
[QGIS] Heat-map 시각화 □ Heat-map이란 무엇인가 - 열을 뜻하는 히트(heat)와 지도를 뜻하는 맵(map)을 결합시킨 단어 -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일정한 이미지 위에 열분포 형태의 시각화한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것 위의 그림은 유로파 유명 축구선수들이 어디서 패스를 받았는지에 대한 Heat-map 시각화를 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해당 선수가 속해있는 팀을 상대팀으로 만난다면 어떤 전술을 구사해야 하는 지를 작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여러분께서 분석하고 계신 빅데이터 또한. 산점도(Scatter plot), 공간적 분포를 통해 어느 구간, 지역에 편중되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고 기관에서는 그 정보를 검토하고 활용하여 시행하고 있는 사업의 효율을 높이는 전술을 계획할 것입니다. ​ □ 실습1... 2023. 1. 28.
[QGIS] 자주 쓰는 버퍼 정리 및 비교 안녕하십니까! 박성호입니다 ^,^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면서 거리에 따른 "차등점수 부여"를 하시거나, 포인트를 활용하여 버퍼안에 포인트 개수가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포인트 개수 세기" 등 이러한 [벡터] 기능을 많이 쓰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 그래서 이번 글은 버퍼를 생성할때 주의할 점과 자주쓰는 3가지 버퍼 생성 방법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 활용 데이터 - 서울 응급실 위치 정보 출처 :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http://data.seoul.go.kr/dataList/OA-20338/S/1/datasetView.do;jsessionid=3A22389706D2E5F0A5964A5134636EB8.new_portal-svr-11 □ 4326좌표계로 버퍼를 그리면? 4326좌표계의 점좌표.. 2023.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