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GIS] 자주 쓰는 버퍼 정리 및 비교
안녕하십니까! 박성호입니다 ^,^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면서
거리에 따른 "차등점수 부여"를 하시거나,
포인트를 활용하여 버퍼안에 포인트 개수가 얼마나 있는지에 대한 "포인트 개수 세기" 등
이러한 [벡터] 기능을 많이 쓰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은 버퍼를 생성할때 주의할 점과
자주쓰는 3가지 버퍼 생성 방법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활용 데이터
- 서울 응급실 위치 정보
출처 :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http://data.seoul.go.kr/dataList/OA-20338/S/1/datasetView.do;jsessionid=3A22389706D2E5F0A5964A5134636EB8.new_portal-svr-11
□ 4326좌표계로 버퍼를 그리면?
4326좌표계의 점좌표로 버퍼를 그리면 이렇게 나옵니다,,
왜그럴까요..?
4326좌표는 위경도 좌표인데 위경도는 지구의 각도 개념입니다.
따라서 4326 위경도 좌표로 버퍼를 그리면 각도를 기준으로 그리기때문에 전체를 덮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좌표계를 바꿔주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자 그럼 버퍼를 생성해볼까요?
□ 버퍼생성
[벡터] - [지리 정보 처리 도구] - [버퍼]
[라인 길이 측정]으로 버퍼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
오류없이 잘 생성되었지만 반경범위 하나밖에 생성이 안될까요?
아니죠! 아래의 사진처럼 0~500m, 500~1000m, 1000~1500m 처럼 차등적인 버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다중 고리 버퍼
[공간처리 툴박스] - [벡터 도형] - [다중 고리 버퍼]
만약 거리에 따라 차등점수를 부여한다면?
위에 보이는 사진과 같이 "이렇게 겹치는 부분은 어떻게 처리할까,," 같은 골치아픈 고민거리가 생기실 겁니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해답은 바로
" Multi Ring Buffer "
□ Multi Ring Buffer
[벡터] - [Multi Ring Buffer]
Multi Ring Buffer로 더 깔끔하게 버퍼를 생성할 수 있고 이후에 차등점수를 부여할때도 문제없겠죠?
다음 글은 “차등점수 부여”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질문 혹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